이사할 때 준비사항 필수 체크리스트, 리얼 후기와 꿀팁
이번에 또 이사를 하게 됐는데, 총 5번의 이사를 해본 경험자가 됐네요.
처음 이사를 할 때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어리바리하기만 했어요.
이제는 뭘 해야 하는지 머리에서 이미 준비를 하고 있더라고요.
제가 준비하고 경험한 일들이 이사 초보에게 필수 가이드가 되지 않을까 싶어 알려드리려고 해요.
이사 가기 전에 준비할 것부터 이사 당일 해야 할 일을 차례대로 설명드릴게요.
직접 겪은 꿀팁도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1. 이사 한 달 전 : 이사 업체, 입주 청소 예약
제일 먼저 할 일은 이사 업체를 예약하는 거예요.
보통 한 달 전에 미리 예약을 하는 게 좋습니다. 인기 있는 곳은 2달 전에 하는 게 좋고요.
이사 업체를 선정할 때는 숨고 어플을 이용하면 후기도 볼 수 있어 좋고, 견적 금액도 비교가 가능해서 좋은데요.
이사는 방문 견적을 해야 하는 부분이라서 여러 곳에 견적을 내보는 게 좋긴 해요.
저는 맘카페 후기도 찾아보는데요.
이사 가는 지역의 인기 맘카페가 있다면 가입을 해서 카페 검색으로 '이사'에 관한 글을 보면 도움이 많이 되더라고요. 근데 광고 댓글도 많아서, 여러 사람이 인정한 업체가 어디인지 파악하는 게 좋습니다.
입주청소 역시 이런 방법으로 정하는 게 좋아요.
돈을 주고 청소를 맡기는 게 처음에는 부담스러웠는데, 한 번 해보고 나니 이제는 필수로 합니다. 직접 청소를 하면 힘들기도 하지만, 환풍기 안, 전등 안, 걸레받이 안 등.. 전문 업체가 아니면 청소하기 힘든 부분도 많거든요.
2. 이사 2주일 전 : TV, 인터넷, 도시가스 이전 신청
이사를 가면 인터넷과 TV 이전 신청을 해야 하죠.
도시가스도 역시 전출, 전입 신고를 해야 하고요. 이건 2주에서 일주일 전에 꼭 예약을 하셔요.
혹시나 이사가 가까워서 예약을 하면 이사 당일에 예약이 안 될 수도 있으니, 미리 하셔요.
인터넷 TV 이전은 이용하시는 곳의 고객센터를 검색해서 전화를 해도 되고요.
요즘에는 어플로도 이전 신청을 쉽게 할 수 있어요.
도시가스는 지역마다 다르니 '지역 이름 도시가스' 이렇게 검색하시고요.
고객센터 전화나 어플로 전출, 전입 신고를 하시면 됩니다.
3. 이사 당일 : 전기, 도시가스, 관리비 정산
전기 정산은 한국전력 홈페이지나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당일 정산을 하면 됩니다.
도시가스는 미리 예약을 해놓았으니, 이사 당일에 방문해서 가스 끊고 정산까지 같이 합니다.
아파트에 거주하셨다면 아파트 관리비도 정산해야 해요.
관리 사무소에 찾아가서 관리비 정산을 하시면 되고요. 관리비 정산은 이사 전날에 하셔도 됩니다.
혹시 전세나 월세로 살았다면 장기수선충당금 영수증도 같이 달라고 하셔요.
이건 집주인에게 알려주고 돈을 받으셔야 하는 부분이랍니다.
4. 이사 당일 : 쓰레기처리, 헌 옷 팔기
이사를 하면 쓰레기가 참 많이 나오는데요.
보통 75L 종량제 봉투를 사면 충분하실 거예요. 저는 이번에 좀 더 많이 나오긴 해서 75L 하나랑 10L 2개 정도 썼어요.
만약 쓰레기봉투에 들어가지 않는 폐기물이 많으면 폐기물 접수를 해서 버려야 해요.
대형 폐기물 처리해 주는 업체 링크를 위에 첨부했고요.
그 외에는 관할 시청이나 구청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어요.
그리고 안 입는 옷도 이사할 때 정리하게 되는데요.
헌 옷 수거함에 버리기보다는, 요즘에는 헌 옷을 사가는 업체가 잘 되어 있어요.
보통 20벌 이상되면 직접 방문해서 옷을 가져가더라고요.
헌 옷 수거는 이사 전에 하셔도 무관하고요. 저는 이사하고 나서도 버릴 옷이 또 나오더라고요.
시간 되실 때 접수해서 처리하시면 될 거 같아요.
저도 이사할 때 버릴 옷이 많이 나와서 헌 옷 수거 어플로 해보았네요. 팔면 몇 천 원 정도 나오는데요. 그냥 버리는 것보다 돈 받고 파는 게 나으니 꼭 써먹어 보셔요.
5. 이사 당일 : 전입신고, 확정일자
이사하고 나면 전입신고 꼭 하셔야 해요.
관할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해도 되지만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면 편해요.
만약 전세나 월세 계약이라면 확정일자도 꼭 받아두시고요.
왜냐하면 전입신고는 신고한 다음날부터 적용이 되거든요. 그래서 이사 당일에도 집에 대한 권리를 인정받으려면 확정일자가 필요해요.
그리고 임대차 신고도 꼭 해야 해요. 이건 한 달 안에 하면 되는데, 그냥 한 번에 해두는 게 마음 편해요.
전입신고, 확정일자, 임대차 신고 한 번에 해두셔요.
자취 집 구할 때 알아야 할 것
보증금 지키는 방법
계약 만료 전 이사할 때
'경제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 낮은 전세 대출 후기와 꿀팁,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100% 활용법 (0) | 2025.02.03 |
---|---|
월세 계약 만료 전 이사 가야 할 때, 복비 문제와 보증금 지키는 방법 (0) | 2025.01.07 |
재건축 몸테크 해보며 깨달은 주의할 점 3가지, 그럼에도 재건축 아파트에 사는 이유 (4) | 2024.11.05 |
20대 30대 사회초년생 자취 집 구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5가지 (5) | 2024.10.17 |
부동산 대출 있는 집 월세 계약시 주의사항, 우선변제권과 확정일자로 보증금 지키기 (1) | 2024.10.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