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사할 때 준비사항 필수 체크리스트, 리얼 후기와 꿀팁

라라쿠키 2025. 2. 4.

이번에 또 이사를 하게 됐는데, 총 5번의 이사를 해본 경험자가 됐네요.
처음 이사를 할 때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어리바리하기만 했어요.

 

이제는 뭘 해야 하는지 머리에서 이미 준비를 하고 있더라고요.
제가 준비하고 경험한 일들이 이사 초보에게 필수 가이드가 되지 않을까 싶어 알려드리려고 해요.
이사 가기 전에 준비할 것부터 이사 당일 해야 할 일을 차례대로 설명드릴게요.
직접 겪은 꿀팁도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1. 이사 한 달 전 : 이사 업체, 입주 청소 예약

이사-준비-이사업체-견적서

 

제일 먼저 할 일은 이사 업체를 예약하는 거예요.
보통 한 달 전에 미리 예약을 하는 게 좋습니다. 인기 있는 곳은 2달 전에 하는 게 좋고요.

 

이사 업체를 선정할 때는 숨고 어플을 이용하면 후기도 볼 수 있어 좋고, 견적 금액도 비교가 가능해서 좋은데요.
이사는 방문 견적을 해야 하는 부분이라서 여러 곳에 견적을 내보는 게 좋긴 해요.

 

저는 맘카페 후기도 찾아보는데요.
이사 가는 지역의 인기 맘카페가 있다면 가입을 해서 카페 검색으로 '이사'에 관한 글을 보면 도움이 많이 되더라고요. 근데 광고 댓글도 많아서, 여러 사람이 인정한 업체가 어디인지 파악하는 게 좋습니다.

 

입주청소 역시 이런 방법으로 정하는 게 좋아요.
돈을 주고 청소를 맡기는 게 처음에는 부담스러웠는데, 한 번 해보고 나니 이제는 필수로 합니다. 직접 청소를 하면 힘들기도 하지만, 환풍기 안, 전등 안, 걸레받이 안 등.. 전문 업체가 아니면 청소하기 힘든 부분도 많거든요.

 

2. 이사 2주일 전 : TV, 인터넷, 도시가스 이전 신청

 

이사를 가면 인터넷과 TV 이전 신청을 해야 하죠.
도시가스도 역시 전출, 전입 신고를 해야 하고요. 이건 2주에서 일주일 전에 꼭 예약을 하셔요.

 

혹시나 이사가 가까워서 예약을 하면 이사 당일에 예약이 안 될 수도 있으니, 미리 하셔요.

 

인터넷 TV 이전은 이용하시는 곳의 고객센터를 검색해서 전화를 해도 되고요.
요즘에는 어플로도 이전 신청을 쉽게 할 수 있어요.

 

도시가스는 지역마다 다르니 '지역 이름 도시가스' 이렇게 검색하시고요.
고객센터 전화나 어플로 전출, 전입 신고를 하시면 됩니다.

 

3. 이사 당일 : 전기, 도시가스, 관리비 정산

도시가스-정산-영수증

 

전기 정산은 한국전력 홈페이지나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당일 정산을 하면 됩니다.
도시가스는 미리 예약을 해놓았으니, 이사 당일에 방문해서 가스 끊고 정산까지 같이 합니다.

 

아파트-관리비-정산-영수증


아파트에 거주하셨다면 아파트 관리비도 정산해야 해요.
관리 사무소에 찾아가서 관리비 정산을 하시면 되고요. 관리비 정산은 이사 전날에 하셔도 됩니다.

 

장기수선충당금-영수증


혹시 전세나 월세로 살았다면 장기수선충당금 영수증도 같이 달라고 하셔요.
이건 집주인에게 알려주고 돈을 받으셔야 하는 부분이랍니다.

 

4. 이사 당일 : 쓰레기처리, 헌 옷 팔기

쓰레기버리는-사람

 

이사를 하면 쓰레기가 참 많이 나오는데요.
보통 75L 종량제 봉투를 사면 충분하실 거예요. 저는 이번에 좀 더 많이 나오긴 해서 75L 하나랑 10L 2개 정도 썼어요.

 

만약 쓰레기봉투에 들어가지 않는 폐기물이 많으면 폐기물 접수를 해서 버려야 해요.
대형 폐기물 처리해 주는 업체 링크를 위에 첨부했고요.
그 외에는 관할 시청이나 구청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어요.

 

헌옷-버리기

 

그리고 안 입는 옷도 이사할 때 정리하게 되는데요.
헌 옷 수거함에 버리기보다는, 요즘에는 헌 옷을 사가는 업체가 잘 되어 있어요.
보통 20벌 이상되면 직접 방문해서 옷을 가져가더라고요.

 

헌 옷 수거는 이사 전에 하셔도 무관하고요. 저는 이사하고 나서도 버릴 옷이 또 나오더라고요.
시간 되실 때 접수해서 처리하시면 될 거 같아요.
저도 이사할 때 버릴 옷이 많이 나와서 헌 옷 수거 어플로 해보았네요. 팔면 몇 천 원 정도 나오는데요. 그냥 버리는 것보다 돈 받고 파는 게 나으니 꼭 써먹어 보셔요.

 

5. 이사 당일 : 전입신고, 확정일자

전입신고-작성

 

이사하고 나면 전입신고 꼭 하셔야 해요.
관할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해도 되지만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면 편해요.

 

만약 전세나 월세 계약이라면 확정일자도 꼭 받아두시고요.
왜냐하면 전입신고는 신고한 다음날부터 적용이 되거든요. 그래서 이사 당일에도 집에 대한 권리를 인정받으려면 확정일자가 필요해요.
그리고 임대차 신고도 꼭 해야 해요. 이건 한 달 안에 하면 되는데, 그냥 한 번에 해두는 게 마음 편해요.
전입신고, 확정일자, 임대차 신고 한 번에 해두셔요.

 


자취 집 구할 때 알아야 할 것

 

20대 30대 사회초년생 자취 집 구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5가지

남동생이 서울로 갑자기 발령이 나면서, 동생 커리어에는 잘된 일이지만 2주 만에 집을 구해야 했던 터라 남동생 멘털이 탈탈 털렸었는데요. 함께 집 구하는 걸 제가 도와주면서 보증금을 지킬

cookie1000.com

보증금 지키는 방법

 

부동산 대출 있는 집 월세 계약시 주의사항, 우선변제권과 확정일자로 보증금 지키기

이번에 남동생이 직장 발령이 갑자기 나서 부랴부랴 집을 보러 다녔는데요. 사회초년생이고 아직 자취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동생이라 부동산 공부하고 있는 제가 좀 나서서 이것저것 알

cookie1000.com

계약 만료 전 이사할 때

 

월세 계약 만료 전 이사 가야 할 때, 복비 문제와 보증금 지키는 방법

불가피하게 이사를 가야 할 일이 생기는데요.갑작스러운 회사 발령 등 월세 계약이 만료되기 전에 이사를 가야 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도 이번에 남편이 발령이 나서 갑자기 이사를 하게

cookie1000.com

댓글